스프링 썸네일형 리스트형 스트링부트 Hello World 출력하기 앞에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봤는데 로그는 정상적이나 결과 화면이 없어서 정상인지 의문이 간다. 그렇다면 모든 코딩의 시작인 Hello World를 출력해 봐야겠다. 책이랑 개발환경이 달라서 그런가 화면이 달라 테스트해가며 진행했다. 1. default로 생성된 패키지의 이름은 sample로 변경했다. 2. [F2] 단축키를 눌러 Rename Package에서 sampe로 바꿔준다. 3. Continue 버튼 클릭 3. Package Explorer탭에서 Project Explorer탭을 선택했다. 4. sample 패키지 밑에 controller 패키지를 만들어준다. 5. Name란에 sample.controller 를 입력한다. 6. controller 패키지에서 마우스 우측버튼으로 New>Class를 만.. 더보기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어 보기 스프링부트 처음 포스팅에서 개발환경을 구성해 보았다. 그럼 이제 스프링 부트를 이용하여 한번 애플리케이션을 만들어 봐야 겠다. 스프링이 처음 세상에 공개되 후부터 스프링으로 애플리케이션을 만드려면 라이브러리 추가 및 의존성 관리 등 스프링 프레임워크가 처리할 작업을 알려주는 등 개발자가 해야할 작업들을 해결하기 위한것이 스프링부트라고 한다. 스프링부트의 장점은 아래와 같다. 프로젝트에 따라 라이브러리가 미리 조합되어 있다. 복잡한 설정을 자동으로 처리해 준다. 내장 서버를 포함 톰캣과 같은 서버를 추가 설치 않해도 개발이 가능하다 ㅗㅁ캣이ㅣ나 제티(Jetty)와 같은 WAS 웹어플리케이션 서버에 배포하지 않아도 실행되는 JAR 파일로 개발한다. 그럼 어디 한번 샘플프로젝트를 만들어 볼까? 1. 이클립스에.. 더보기 스프링부트 개발환경 설정하기 스프링은 설정이 많아 어렵다고 하더라. 자바 개발자가 아닌 내가 회사 시스템이 바뀌면서 스프링부트로 구현되어 학습이 필요했다. 그럼 어디서부터 시작해야 하지? 자바에 대한 기초가 필요한가? 난해하다. 난해해! 그래서 내가 시작한 방법은 역시 책이다. 유튜브에서 많은 교육동영상을 참조할 수도 있겠지만 역시나 처음 시작은 책이 좋겠다. 싶었다. 그래서 내가 선택한 책은 스프링을 처음 접하거나 경험이 많지 않은 초급 개발자들을 위한 책이다. 거의 가장 기초적인 내용들로 예제가 구성된 책이라서 예제를 따라 만들어보고 진행하면서 종국에는 하나의 그럴싸한 결과물을 만들어내는게 목표인 책이다. 이 책은 이클립스와 설치 파일 등을 깃허브에서 제공한다고 하는데 그냥 다 따라하면서 진행해보아야 겠다. 개발환경 설정하기 스.. 더보기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