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에서 프로젝트를 만들어봤는데 로그는 정상적이나 결과 화면이 없어서 정상인지 의문이 간다.
그렇다면 모든 코딩의 시작인 Hello World를 출력해 봐야겠다.
책이랑 개발환경이 달라서 그런가 화면이 달라 테스트해가며 진행했다.
1. default로 생성된 패키지의 이름은 sample로 변경했다.
2. [F2] 단축키를 눌러 Rename Package에서 sampe로 바꿔준다.
3. Continue 버튼 클릭
3. Package Explorer탭에서 Project Explorer탭을 선택했다.
4. sample 패키지 밑에 controller 패키지를 만들어준다.
5. Name란에 sample.controller 를 입력한다.
6. controller 패키지에서 마우스 우측버튼으로 New>Class를 만들어준다.
6. Name란에 HelloController를 입력한다.
그럼 아래와 같이 클래스가 만들어진다.
7. 생성된 HelloController 클래스에 코딩을 한다.
1) @RestController 어노테이션을 이용해 클래스가 REST 컨트롤러 기능을 수행하도록 한다.
2) @RequestMapping 어노테이션은 해당 메서드를 실행할 수 있는 주소를 설정한다. 위 소스에서는 기본주소를 '/'로 지정했는데 특별히 주소를 입력안해도 실행되는 주소를 말한다.
3) Hello World!라는 메시지를 화면에 전달해주는 역할을 한다.
public String Hello() {
return "Hello World!";
}
스트링부트 초보개발자다 보니 무슨말인지 잘 모르겠다.
두꺼운 책이 더 필요하려나...
하여튼 여기까지 하고 프로젝트를 실행한 후 브라우저 주소창에 Http://localhost::8080을 입력한다.
위 처럼 브러우저에 Hello World!가 출력된다.
오늘은 여기까지.... 잘 따라하고 있는지 모르겠다.
처음부터 이렇게 헤매면 안되는디... ㅋ 머리가 굳었나 보다.
'코딩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프링 프로젝트 만들어 보기 (0) | 2022.05.11 |
---|---|
스프링부트 개발환경 설정하기 (0) | 2022.05.11 |